술과 운동
알코올은 7kcal/g의 열량을 제공한다. 위장에서 소량 흡수되고 대부분은 소장에서 흡수되어 간에서 분해된다. 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세포와 DNA를 손상하는 1급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간을 손상한다. 반면 적포도주에 들어있는 폴리페놀류, 맥주의 잔토휴몰은 항암, 항염증, 항산화 효과가 있다. 적당한 음주는 HDL-콜레스테롤(좋은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심혈관질환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진다.
술과 운동의 관계
단백질 생성의 부정적인 영향 알코올 섭취 후 24시간 동안은 단백질 생성이 15~20%까지 저하된다. 근육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운동 후 손상된 근육 회복에 방해 된다. 지속적인 알코올 섭취는 지구력 유지와 수행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호르몬 불균형의 원인 고농도 알코올 섭취는 테스토스테론의 농도를 저하한다. 성장호르몬은 아미노산 합성에 도움을 주어 근육을 생성하고 복구하는데, 알코올 섭취 후 20시간 동안 농도 저하가 발생한다.
탈수의 위험 알코올이 분해될 때 항이뇨호르몬 분비가 감소하여 많은 양의 수분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탈수는 근육생성에 부정적 원인이 되며 탈수로 인해 몸의 혈액량이 감소하면 세포에 원활한 산소와 영양소 공급이 어려워지면서 운동능력이 저하된다.
비타민과 미네랄의 결핍 알코올은 비타민B군(티아민, 비타민B1, B6, 엽산)과 마그네슘, 철, 아연 등의 미네랄 흡수를 방해한다. 비타민B군 결핍 시 에너지 생산과 근육생성 및 회복에 방해가 된다. 철은 산소 운반 단백질(헤모글로빈과 미오글로빈)과 에너지 생산과 관련된 효소에 꼭 필요한 물질이다.
술은 열량이 높다. 도수와 섭취량에 따라 다르지만, 도수 10도 미만인 맥주의 경우 섭취량이 1,000cc이면 밥 1공기에 육박하는 열량을 섭취하게 되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는 알코올 1회 섭취 기준을 여자 20g, 남자 40g 이하를 권장하고 있다. [소주 1잔 = 맥주 1잔(200ml) = 약 알코올 10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