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한라병원 통합검색 검색 아이콘
전체메뉴

식사 관리

암 환자의 식사 편견
Q
암 환자는 무엇을 먹어야 하나?
Q
너무 잘 먹으면 다시 암이 생기는 거 아닐까?
Q
무엇을 먹어야 빨리 낫고 재발이 안될까?
Q
고기, 콩을 먹으면 안된다는데?
Q
암 환자에 좋다는 약을 좀 먹을까?
영양불량 유발요인
  1. 화학요법
    식욕부진
    점막염
    소화관의 모든 부분에 영향 (궤양, 출혈, 흡수불량 유발)
    오심, 구토
    식품에 대한 거부감
  1. 방사선요법
    1. 구강건조, 연하곤란, 메스꺼움, 충치, 타액분비 감소
    2. 점막염, 구강 및 인후 통증, 궤양성 통증
    3. 미각의 손상, 미맹-쓴맛, 신맛손상
    4. 메스꺼움, 구토(상복부 조사시)
    5. 설사(하복부 조사시)
영양치료의 목표
영양관리 필요성
01
악액질합병증
유발 방지
02
치료중 부작용
최소화
03
치료후 손상된
조직 재생
좋은 영양상태 유지
단백질 섭취를 하면 안 된다?
단백질의 역할, 필수 아미노산으로 구성
단백질의 역할
  1. 신체조직구성 : 근육조직, 뼈, 혈액 등의 조직 구성
  2. 생리 기능 조절 : 호르몬, 효소, 항체
  3. 신체를 보호하는 면역과 해독작용 담당
  4. 에너지 공급
필수 아미노산
  1. 체내에서 합성하지 못하여 반드시 식품을 통해 섭취해야 하는 아미노산 ->동물성 식품과 콩류에 많음
암 환자의 식사 관리
  1. 체력 유지를 위해 충분한 칼로리를 섭취합니다.
  2. 근육소모, 조직의 재생, 상처회복을 위해 질 좋은 단백질(육류, 생선, 두부, 계란, 우유)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3. 비타민, 무기질 공급을 위해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섭취합니다.
  4. 편식하지 말고 균형된 식사가 되도록 합니다.
  5. 소량씩 자주 식사 합니다.
  6. 짜거나 매운 음식, 훈제 식품, 산패된 음식, 태운 음식 등은 피합니다.
적절한 운동과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1.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2. 근육의 손실을 방지합니다.
  3. 영양결핍으로 인한 면역기능의 저하를 방지합니다.
  4. 치료에 따른 부작용에 대처합니다.
정답은 하나!
[
골고루 잘 먹으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