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
심장 '덜커덕' 증세 지속되면 부정맥 의심하고 검사받아야
심장은 전기의 힘으로 움직인다. 심장 오른쪽에 있는 ‘동방결절’이 모터 역할을 해 전기를 만들면 심방이 ‘쫙쫙’ 오므렸다 펴지고 곧바로 심실이 ‘쫘~악, 쫘~악’ 좀 더 큰 운동으로 박동하면서 피를 돌린다. 심장의 박동은 맥박으로 나타나는데 맥박은 1분에 60〜100번, 하루 10만 번을 뛴다. 이 심장 전기시스템의 이상으로 맥박이 분당 100번 이상 또는 60번 이하로 뛰는 것이 부정맥(不整脈)이다. 많은 사람이 부정맥 이라고 하면 맥박이 불규칙적으로 팔딱팔딱 뛰는 것으로만 알고 있지만 그렇지 않다. 부정맥에는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거나 느린 경우 또는 불규칙적인 것이 모두 포함된다. 부정맥은 생명을 한 순간에 앗아가는 무서운 병이다. 하지만 일반인은 부정맥의 위험에 대해 모를 뿐 아니라 일부 개원 의사조차 부정맥 환자가 오면 대처 방법을 잘 몰라 진땀을 흘리곤 한다. 부정맥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부정맥의 종류(서맥과 빈맥)
서맥은 심장이 1분에 60회 이하로 뛰는 것을 말한다. 동방결절이 고장 나거나 전기가 지나는 길에 문제가 생긴 것이 원인. 그대로 놔두면 어지럼증, 무기력증이 심해지다가 졸도, 뇌진탕, 심장마비 등으로 숨질 수 있다. 이런 경우 환자의 약물의 복용력이 중요하며 맥박을 느리게 할 수 있는 약제의 사용이 없다면 영구형 인공 심박기 삽입의 적응증이 된다. 맥박이 분당 100번 이상 뛰는 것. 이것을 빈맥이라고 하며 심장이 힘껏 뛰지 못해 펌프 구실을 못하게 된다. 이 중 발작적으로 발생하고 사라지는 빈맥의 대부분은 비정상적인 회로에 의한 것으로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이라고 말하며 전기생리학적 검사와 전극도자 절제술로 완치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빈맥의 치료는 이제 약물에서 전극도자 절제술로 바뀌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일차적 치료로 권고하고 있다. 상심실성 빈맥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방실결절회귀성 빈맥; 방살결절내에 기능적인 차이로 인해 전기 흐름이 작은 회로을형성하여 일으키는 빈맥이다.
2) 방실 회귀성 빈맥; 방실결절내가 아닌 다른 곳에 심방과 심실을 연결하는 전기줄(부회로)이 있어 이 전기줄과 방실결절간에 회로가 형성되어 발생하는 빈맥이다.
3) WPW 증후군; 조기흥분 증후군이라고도 알려저 있다. 동방결절에서 발생된 전기파는 정상적으로 방실결절을 통해 속가지가 있는 심실로 전달되어야 하나 이 증후군에서는 비정상적인 전기회로가 선천적으로 존재하여 심방과 심실사이를 바로 있고 있다. 따라서 동방결절에서 발생된 건기파는 방실결절을 거쳐 심실로 전달되기 전에 부회로에 의해 심실에 먼저 도착하게 된다. 이는 심전도로 쉽게 진단할 수 있고 빈맥을 흔히 유발한다. 청소년기에는 별 증상을 유발하지 않다가 성인이 되면서 증상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부회로가 전기를 전달하는 능력이 소실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4) 심방성 빈맥; 심방근육에서 자동능이 항진되어 생기는 빈맥 간혹 심방내에서 작은 회로가 생겨 빈맥을 유발할 수 있다.
5) 심방조동; 심방내에서 큰 회로가 발생되어 발생하는 빈맥이다.
그리고 가장 흔한 빈맥으로 심방세동을 들 수 있다
심방세동’은 심방이 1분에 350번 이상박동하고 심실이 100〜200번 뛰는 것이다. 방치하면 심장 안에 혈전(血澱)이 생길 수 있고 중풍에 걸릴 확률이 4배 높아진다. 심방세동은 한국인 전체의 1%에 생기는 흔하면서도 무서운 병이다. 65세 이상에서 3~5%, 80세 이상에서는 12%가 생기며 이 병이 있으면 뇌중풍 확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4~6배, 심장 기능저하증은 2~3배가 높아진다. 치료는 심방세동의 분류, 동반 질환과 환자의 나이, 그리고 증상에 따라서 그 치료가 달라진다. 적극적으로 정상박동으로 전환을을 해야 하는 경우의 환자가 심박수조절만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뇌졸중에 대한 예방에 적극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다.
심실빈맥
심방보다 심실이 더 빨리 뛰는 것을 심실빈맥/심실세동이라고 한다. 심실빈맥은 심방빈맥보다 더 무섭다. ‘급살(急煞)을 맞는다’는 것이 바로 이 병이다. 많은 경우가 허혈성 심질화, 즉 심근경색과 관련이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이런 환자의 더욱더 적극적인 치료를 요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환자들에게 일차적 예방 또는 이차적 예방으로 삽입형 제세동기 또는 심장 재동기화 치료(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CRT)에 제세동의 기능이 있는 것이 삽입을 권유하고 있다. 또한 약물에 반응하지 않은 심부전 환자에서 심장 재동기화 치료는 환자의 증상 호전과 생명의 연장에 도움을 준다.
검사와 전극도자 절제술
위에서 언급한 환자처럼 반복적 그리고 발작적으로 발생하는 빈맥의 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증상이 있을 때 심전도를 시행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규명된 심전도를 얻기 힘들다. 따라서 이런 경우 전기 생리학적 검사가 원인 규명에 도움이 된다. 전기생리학적 검사란 옆에서 보는 것처럼 양측 대퇴 정맥 부위에 국소마취를 한 뒤 대퇴정맥을 통하여 심장 내에 가느다란 전극을 정해진 위치 한 뒤 전기자극을 주어 부정맥을 유발하여 그 기전을 파악하는 것이다. 발작성 심실상성 부정맥의 경우 대부분 비정상적인 회로를 가진 경우이므로 함께 시행하는전극도자 절제술로 95%이상 완치가 가능하다. 환자는 거의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앞에서 언급한 심방세동에 관해서도 약제에 반응하지 않는 증상이 심한 환자를 대상으로 전극도자 절제술을 시행하고 있다. 발작성 상심실성 부정맥보다는 훨씬 복잡한 경우이지만 새로운 장비의 발달로 그 성공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심방세동에 대한 전극도자 절제술을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보다 훨씬 복잡한 기전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전극도자 절제술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지만 기술과 경험, 그리고 기구의 발달로 많은 발전을 하였으며 앞으로 더욱더 발전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표적인 발전이 3차원 mapping과 영상의 재구성이다. 이로써 이전에X-ray만으로 보던 것을 보다 정확한 해부학적 구조와 전기적 특징을 찾아 치료의 성공률을 높이고 있다. 40대 이상은 심장병이 의심되면 반드시 검사를 받도록 한다. 특히 집안 식구 중 갑자기 ‘화병’ 등으로 숨진 사람이 있거나 최근 기절, 순간적 흉통, 목 부위의 불쾌감, 호흡곤란, 어지럼증 등이 있었다면 검사를 받아야 한다. 심전도검사 결과가 정상으로 나왔지만 가족이 급사하고 자신은 가슴이 ‘덜커덕 덜커덕’거리는 증세가 지속되면 몇 개월 동안 인체에 검사 장치를 삽입해 추적하는 검사를 받는 것이 안전하다. 부정맥은 보통 증세가 사라지면 심전도를 찍어도 멀쩡한 것로 나타나기 때문에 부정맥이 나타날 때 지체하지 말고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장진근 심장내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