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네야마 기미히로가 지은‘청개구리 두뇌습관’-습관을 바꾸면 머리가 좋아진다.의 내용을 간추려 올려 본다.
주위를 둘러보면 나이가 많아도 항상 새로운 일에 도전하면서 활기차게 사는 사람들이 있다. 예를 들면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친 화가 피카소는 살아생전에 아흔 살이 넘어서도 새로운 예술 작품을 많이 남겼다. 작년에 95세로 타계한 Peter Drucker도 작고하기 전까지 4~5년 간격으로 경영과 미래의 지식경영에 대한 집필활동을 왕성하게 했다. 지금까지 인간의 뇌는 나이와 함께 노화해 가고 있지만 남은 뇌를 가지고 단련을 시켜가며 머리를 좋게 하면 Alzheimer’s Disease와 같은 질환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만약 나이가 들면서 머리가 나빠졌다고 느낀다면, 그것은 익숙해진 일상으로 인해 뇌의 활동이 둔해졌기 때문이다. 좋아하는 일에 파묻혀 열정적인 삶을 영위하는 사람들은 굳이 의식하지 않더라도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뇌를 단련시킨다. 나이가 들어 건망증이나 치매증상이 생기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머리가 좋아지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머리가 좋아지는 30가지 방법을 나누어 소개한다.
1)눈감고 밥 먹기 (후각과 미각을 자극한다)
눈은 반드시 감는다. 혀나 코 손 등의 감각에 의식을 최대한 집중시켜야한다. 시각 정보를 차단해 공간감, 후각, 미각, 촉각을 자극한다.
2) 주머니 속의 동전 알아맞히기 (촉각으로 상상력을 자극한다)
주머니 속에 10원 짜리 동전과 100원짜리 동전을 각각 5개씩 넣고 그것이 얼마짜리 동전인지 만져서 알아 맞혀라. 천천히 만지작거리면 쉽게 구분할 수 있으니,약간의 불편함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빨리 만져서 알아맞히는 것이 중요하다. 잠자고 있던 촉각이 예리해져서 뇌 전체가 들썩거릴 것이다.
3) 귀 막고 계단 오르내리기 (청각을 차단해 집중력을 높인다)
귀를 막고 발가락으로 계단 위치를 확인하면서 사뿐 사뿐 조심해서 내려가자. 소리가 차단되기 때문에 모든 감각이 발가락으로 쏠리게 된다. 평상시 거의 쓰지 않던 발가락 감각을 사용하여, 뇌의 감각 기능을 일깨운다.
4)코 막고 커피 마시기 (후각과 미각을 자극한다)
평소와는 다른 감각을 만들어 냄으로써 뇌를 자극할 수 있다.
5) TV 프로그램 안내문 소리 내어 읽기 (신체의 모든 감각을 총동원한다)
소리 내어 읽을 때는 가능한 한 큰 소리로 읽는다. 그리고 손짓, 발짓을 총동원해서 과장되게 읽어라. 귀 입 목 등 신체 여러 부위를 총동원하면 보다 강렬한 기억으로 정보가 머릿속에 남는다.
6) 커피 향을 맡으며 물고기 사진 보기 (후각과 시각을 교란시킨다)
냄새는 기억을 되살리는 훌륭한 단서가 된다. 평소 익숙한 향을 준비한 다음, 그것과 전혀 관계없는 것을 눈앞에 두어서 속임수를 확실하게 연출하자! 후각의 기억을 교란시키면 뇌는 200% 단련된다.
7) 점심은 다른 음식점에서 다른 메뉴로 주문해라
(색다른 경험이 새로운 두뇌 회로를 만든다)
익숙해진 습관은 뇌를 지루하게 한다. 첫 경험, 새로운 도전이야말로 뇌를 위한 소중한 비타민이다. 일상생활 속에 끊임없이 도전하는 자세를 갖자. 마음 설레는 일이 많을수록 머리가 좋아진다.
8) 한달 한번 명품족이 돼라. (팽팽한 긴장감이 두뇌를 깨운다)
물건을 사기 전에 충분히 정보를 수집한다면, 자기만의 쇼핑 노하우도 생기고 기분 좋은 긴장감도 맛볼 수 있다. 긴장감은 아드레날린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뇌를 활기차게 만든다.
9) 가끔은 목적지까지 빙빙 돌아서 가라 (매 순간 자신을 긴장감에 빠뜨린다)
조금 귀찮아도 ‘돌아서 돌아서’가는 여유는 강력히 추천하고 싶은 두뇌 습관이다. 시간이 없을 때, 아니 시간을 만들어서라도 꼭 훈련해 보자. 길을 잃으면 뇌는 정신적인 공황 상태에 빠져 필사적으로 해결책을 찾는다. 그런 자극이 뇌를 젊게 만든다.
10) 오른손잡이는 왼손으로 녹차를 마셔라. (무의식적인 행동을 의식화 한다)
하루에 한 번은 마시는 차, 만약 오른손잡이라면 왼손으로 컵을 쥐고 우아하게 마시자. 항상 커피를 마시는 사람은 녹차 한 잔으로도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다. 세세한 동작에까지 의식을 부여함으로써 뇌가 늘 깨어 있도록 한다.
산부인과장 여영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