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한라병원 통합검색 검색 아이콘
전체메뉴

질환 정보

엠폭스로 개명된 원숭이두창 알아보기
작성일 2023.07.04
조회수 71

엠폭스로 개명된 원숭이두창 알아보기

예방수칙 준수가 감염병 차단의 첩경

 

신종감염병 엠폭스(원숭이 두창)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 발진성 질환으로 증상은 천연두 바이러스와 관련이 있으며 유사하지만 보통보다 경미한 감염병이다. 지난해 6월 국내에 첫 환자가 출현 후 현재 엠폭스 확진자는 115명(2023.06.21일 0시 기준)으로 발생하였고 질병관리청은 위기경보 수준을 ‘주의’단계로 유지하면서 감시강화를 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힘듬이 다 가시기전에 다시 찾아온 신종 감염병 엠폭스는 어떤 감염병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엠폭스는 뭔가요?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발진성 감염병으로 증상은 두창과 유사하지만 중증도는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엠폭스 증상은 어떤가요?

국내 확진환자의 주요 증상으로는 항문직장, 생식기, 구강, 결막, 요도 등의 피부·점막의 병변(발진이나 궤양 등), 피부통증(항문직장, 생식기 등)이 있으며 발열, 두통, 림프절 비대 등이 나타납니다.

 

 

■ 엠폭스 어떻게 감염되나요?

A) (근본적인 감염경로) 

     인수공통 감염병으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에 감염 된 사람 또는 동물(쥐, 다람쥐, 프레리도그와 같은 설치류 및 원숭이 등)에 의해 직접, 간접적으로 접촉하였을 때 감염될 수 있습니다.

 

B) (사람 간 전파)

     감염된 사람은 유증상 기간(보통 2~4주)동안 전파력이 있 습니다. 감염환자의 혈액 또는 체액(타액, 소변, 구토물 등) 피부상처 또 는 점막을 통해 직접 접촉으로 감염되거나 성 접촉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C) (호흡기 감염 가능성)

    주로 유증상 감염 환자와의 접촉을 통해 감염되며, 비말전파도 가능하나 코로나19 같은 호흡기 감염병에 비해 가능성이 낮고, 바이러스가 포함된 미세 에어로졸을 통한 공기전파에 대해서는 현재 까지 확인된 바 없습니다.

 

■ 엠폭스에 감염되어도 안심할 수 있나요?

A) (치료)

     엠폭스에 감염된 경우, 대부분 경미하세 증상이 나타나고 2~4 주 후 완치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대증적인 증상완화 치료 만으로도 충분합니다.

 

B) (주의사항)

     특정 인구집단(면역 저하자, 신생아, 어린이, 임산부 등)에 서 합병증(이차 세균감염, 피부 손상, 심한 위염, 설사, 탈수, 기관지폐 렴 등)이 발생하는 등 중증으로 진행되기도 하며 폐렴, 패혈증과 같은 합병증이나 뇌(뇌염) 또는 눈에 감염(각막염, 각막 궤양 등)이 일어난 경우 치명적일 수도 있습니다.

 

■ 엠폭스 접촉자 분류는 어떻게 되나요?

A) 확진환자가 첫 증상이 발생한 날로부터 피부병변 가피가 탈락될 때까지 감염병 환자등과 아래와 같은 접촉이 있는 경우

  - 신체 직접 접촉 (성접촉 포함)

  - 오염된 환경에서 흡입 또는 점막 노출

 

 

감염원

경로

예시

∙ 피부병변액

∙ 체액

∙ 호흡기분비물

∙ 오염도구

 

적절한 보호구 없이 아래 부위에 직접 노출

∙ 상처난 피부 / 상처 없는 피부

∙ 호흡기

∙ 기타 점막(구강, 안구, 생식기 등)

 

∙ 생활공간 공유

∙ 포옹, 키스, 성접촉

∙ 의료처치 중 체액 또는 분비 노출

∙ 오염환경 청소 시 먼지 흡입

∙ 마스크 없이 대화

 

 

■ 엠폭스 예방수칙

 

■ 엠폭스 의심증상 발생 시 행동요령

  A) 엠폭스 의심증상이 있으면 실거주 관할 보건소 또는 1339로 즉시 신고

  B) 방역당국의 조치사항 안내에 따름

  C) 엠폭스 의심증상이 있으면 진단 전까지 동거인을 비롯한 주위 사람들과 접촉 삼가

      ※ 침구, 식기, 컵 등 물품을 별도로 사용하고 가급적 생활공간 분리

  D) 가족과 동거인의 보호를 위해 손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 준수 철저 및 개인보호구 사용

  E) 의심증상자의 쓰레기 및 침구는 별도로 분리하여 관리하고, 

      확진 시 쓰레기는 폐기물로 별도 분리배출하고 침구도 별도 세탁시행

  F) 애완동물을 포함한 기타 동물과의 접촉삼가

 

 

 

 

[제주한라병원 감염관리실장 조경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