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포성 음료는 위장벽 자극해 위장장애 우려
우유는 위벽을 미리 감싸버려 약의 흡수를 방해
물없이 약 복용시 식도 자극해 식도 궤양 우려
약을 먹을 때 물로 복용하지 않는다면 어떤 액체로 약을 먹게 될까요? 아마 거의 대부분 요즘 아이들이 좋아하는 탄산음료, 주스, 또는 우유 등을 선택하게 될 겁니다.
그렇다면 물과 이들 음료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일까요? 물은 ‘중성’ 인데 탄산음료와 주스는 산성, 우유는 알칼리성입니다. 바로 여기에 약을 물에 먹어야하는 이유가 숨어 있습니다. 약은 대부분 화학적인 합성으로 만들어진 유기화합물입니다. 따라서 특정 산도를 가지며 산도가 유지되어야 가장 안정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성인 물과 섭취를 해야 가장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각 음료를 왜 약과 드실 수 없는지 자세한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탄산음료는 특정 약들과 반응해서 약을 탄산염으로 바꿀 수 있고 이것은 당연히 약효의 감소로 이어집니다. 또한 사이다, 콜라같은 발포성 음료는 탄산가스가 위장벽을 자극하여 위장장애의 위험이 있습니다.그리고 주스의 경우 몇몇 특정 주스가 우리 몸에 있는 효소에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약효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자몽주스가 가장 대표적입니다. 운동하고 나서 자주 마시는 포카리스웨트 안에 포함된 그레이프후르츠 과즙이 바로 자몽입니다.
우유는 약이 흡수되기도 전에 위벽을 감싸서 약의 흡수를 방해 합니다. 또한 장용정이라는 특수한 의약품의 경우 위에서 녹지 않고 장에서 녹도록 코팅이 되어 있는데 우유가 이 코팅을 녹게 해서 의약품이 성분이 위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음료는 약의 효과를 원래 의도했던 것과 다르게 효능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약은 꼭 물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은 충분한 양의 물 즉 1컵(240cc)정도 물을 마시도록 합니다. 정제를 먹을 경우 물의 양이 많을수록 약의 흡수 속도가 빨라집니다. 또한 물 없이 약을 복용할 경우 약의 성분에 따라서 약이 식도에 잔류하여 식도를 자극, 식도 궤양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물은 따듯한 물로 복용하는 것이 좋으며, 너무 찬물은 위 점막의 흡수력이 저하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김은숙 영양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