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한라병원 통합검색 검색 아이콘
전체메뉴

건강 상식

성조숙증이 오면 어떻게 되나요
작성일 2018.10.03
조회수 660

우리 아이 벌써 사춘기?

사춘기란 인간 발달 단계의 한 시기로, 신체적으로는 이차 성징이 나타나며 정신적으로는 자아의식이 높아지면서 심신 양면으로 성숙기에 접어드는 시기다. 그 시기는 개인차가 있으나 대개 12세에서 16세 정도의 시기를 말하는 것으로 청년기의 앞 시기에 해당한다.

사춘기가 되면 여자아이의 경우 가슴에 멍울이 생기면서, 남자아이의 경우 고환의 부피가 커지기 시작한다. 평균적으로는 여자아이의 경우 8세에서 13세 사이, 남자아이의 경우 10세에서 13.5세 사이에 사춘기가 시작되고, 그 이전에 사춘기가 시작되는 것을 성조숙증이라고 한다.


성조숙증은 남자아이에 비해 여자아이에게서 5~10배 많으며, 여자아이의 경우 대부분 원인없이 발생하는 특발성이 많지만 남자아이의 경우 절반 정도는 원인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성호르몬이나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약물 등이 성조숙증을 일으킬 수 있으나 특정 식품, 특히 콩류식물에 여성호르몬과 유사한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많이 함유되어 있지만, 이러한 물질이 사춘기 시작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성조숙증은 이차성징의 조기 발현과 함께 빠른 골 성숙으로 인해 최종 성인 키의 감소, 심리사회적 문제나 행동 문제 등이 동반될 수 있고,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난소암 및 유방암의 빈도가 커질 수 있다. 또 성조숙증의 원인으로 중추신경계 종양이나 난소의 종양 같이 조기 발견이 중요한 질환이 포함되므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요구된다.


성조숙증이 왔으나 잘 모르고 있다가 사춘기가 끝날 무렵에야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 정상적인 성인 키로 자라는데 별로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여자아이는 만 9세 전(8세 364일)까지, 남자아이는 만 10세 이전에 성조숙증 치료를 권장하고 있다.


한가지 덧붙이면 성조숙증에 걸린 여자아이는 자신의 몸이 보통의 아이들과 같지 않다는 점에서 심리적으로 극도의 불안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가족의 보살핌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다. 따라서 자녀에게 일어나고 있는 신체적 변화에 대해 사실대로 이야기해주고,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 친구들도 똑같이 일어날 일반적인 것임을 인식시켜주며, 신체변화를 즐겁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소아청소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