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구균 백신
2014년부터 국가무료접종종목으로 채택…소아․성인 모두 필요
최근 들어 치료보다는 예방을 강조하는 시대, 즉 사람들의 수명 자체가 길어지면서 질환으로 이완되기 전에 백신으로 예방이 가능한 질환들은 예방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려는 헬스 케어 3.0 시대가 도래한 지금은 18세 이상의 성인들에게도 추천되는 여러 백신이 있다. 그 중 가장 사회적인 질병 부담이 큰 질환인 폐렴은 국가적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2014년 이후로는 국가 무료 접종의 한 종목으로 채택되어 있어, 이번 호에는 소아와 성인 모두에게 접종되고 있는 폐렴구균 백신이다.
폐렴은 10년 전만 해도 한국인 사망원인 10위 안에 들지 못했지만 10년 사이 환자 수가 4배 가까이 급증하면서 지난해는 한국인 사망원인 질병 순위 5위를 기록했다. 더군다나 면역력이 약한 노인인구가 꾸준히 늘고 항생제에 잘 반응하지 않는 항생제 내성 폐렴구균까지 급증하면서 폐렴은 점점 더 치료가 어렵고 중요한 질환이 되고 있다. 이러한 폐렴을 일으키는 균주 중 약 50% 이상은 폐렴구균(Streptococcuspneumoniae)이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고, 그 결과는 급성 중이염, 폐렴 같은 비침습적인 질환부터 균혈증, 수막염 같은 사망률을 높이는 심한 침습성 감염까지 다양한 증상을 일으킨다.
폐렴구균이야 말로 정상인이나 환자의 상기도에 있는 폐렴구균을 직접 접촉이나 기침이나 재채기로 전파되기 때문에 일상생활을 하는 일반인들도 쉽게 질환으로 쉽게 이완되는 질환이며, 그 중 연령이 상대적으로 어린 영아 및 어린 소아, 그리고 65세 이상의 고령자에서는 병의 중증도가 심한 침습성 질환의 발생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물론 최근에는 다양한 항생제의 발달로 과거보다는 치료가 잘 되긴 하나, 주로 이완되어 중증의 질환으로 진행하는 연령이 영유아와 노인이므로, 폐렴구균 접종의 직접적 대상군도 다음과 같은 어린이와 노인들이다.
1) 접종 대상
① 단백결합 백신(10가, 13가)
- 생후 2개월 ~ 59개월 영아 및 소아
- 폐렴구균 감염의 위험이 높은 2개월 ~ 18세 소아청소년 (표1)
[표1.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에서 단백결합 백신 접종의 대상이 되는 기저질환들]
단백결합 백신 접종 대상 기저질환 | |
위험군 | 질환 |
정상면역 소아 | 만성 심장 질환 (선천성 청색 심질환과 심부전) • 만성폐질환(고용량의 스테로이드를 경구로 복용하는 천식환자도 포함) •당뇨병 •뇌척수액 누출 •인공 와우 이식 상태 |
기능적 혹은 해부학적 무비증 소아 | • 경상구 빈혈 혹은 헤모글로빈증 • 무비증 혹은 비장 기능 장애 |
면역저하 소아 | • HIV 감염증 • 만성 신부전과 신증후군 • 면역억제제나 방사선 치료를 하는 질환(악성 종양, 백혈병, 림프종, 호지킨병) 혹은 고형 장기 이식 선천성 면역결핍질환 (§ B세포(체역면역) 혹은 T세포 결핍증, 보체결핍증(특히, C1, C2, C3 및 C4 결핍증),탐식구 질환 (만성 육아종질환은 제외) |
② 다당질 백신(23가)
- 폐렴구균 감염의 위험이 높은 2세 이상 소아 ~ 64세 성인 (표2)
- 65세 이상 노인
그렇다면, 이렇게 영유아와 노인을 제외한 청장년 층은 접종의 대상이 되지 않을까? 그렇지 않다.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면서 여러 균주를 예방할 수 있는 다당질 23가 백신의 경우 감염의 위험이 높은 2세 이상 소아 ~ 64세 성인들은 꼭 맞아야 하는 예방 접종이 폐렴 구균 백신인 것이다.
[표2. 19~64세 성인에서 다당 백신 접종의 대상이 되는 기저질환들]
다당 백신 접종의 대상이 되는 기저질환 | |
위험군 | 질환 |
정상 면역인 | • 만성 심장 질환(고혈압 제외) 울혈성 심부전과 심근증 포함 • 만성폐질환 만성폐쇄성 폐질환, 폐기종 및 천식 포함 • 당뇨병 • 뇌척수액 누출 • 인공 와우 이식 상태 • 알코올 중독 • 간경변을 포함한 만성 간 질환 • 흡연 |
기능적 혹은 해부학적 무비증 가진 자 | • 겸상구 빈혈 혹은 헤모글로빈증 • 무비증, 비장 기능장애 및 비장제거술 |
면역저하자 | • 선천성 혹은 후천성 면역결핍증 • HIV 감염증 • 만성 신부전, 신증후군 • 신증후군 • 백혈병 림프종 • 전신적인 악성종양 • 면역억제제,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전신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필요로 하는 질환 • 고형 장기 이식 • 다발성 골수종 |
<감염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