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한라병원 통합검색 검색 아이콘
전체메뉴

무료 강좌

큰 절개 없이 수술 가능 회복 빠르고 유착 방지
작성일 2018.07.16
조회수 237
큰 절개 없이 수술 가능 회복 빠르고 유착 방지
최소 침습 수술

최소 침습 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은 일명 ‘복강경 수술’이라고도 하며 기존의 가로 또는 세로의 큰 절개를 대신하여 5-12mm 절개를 하고 투관침을 통하여 탄산가스를 복강내로 주입하고 부풀려 내시경을 삽입하여 복강내를 관찰하고 확인된 병소를 제거하는 수술이다.

과거에 ‘복강경 수술’이라면 60-70대 성인은 1970년대에 행하여진 ‘복강경식 영구 불임수술’을 기억할 수 있다. 1973년에 연세대학은 정부의 가족계획사업을 위해 존스홉킨스 대학의 Fly Teaching Team에 협조를 얻어 특수목적의 복강경 수술을 전수받았으며 그후 부인과 의사뿐만 아니라 외과의 또는 일반의도 널리 시술하게 되었다. 그러나 1980년도 말부터 가족계획사업이 축소되면서 특수목적의 복강경수술은 퇴조하게 되었다.

세계 최초의 복강경 수술은 1901년에 독일의 Georg Kelling이 동물에 처음 사용하였으며 1910년에 스웨덴의 Hans Christian Jacobaeus가 처음으로 인간에 사용하였다. 근대적인 의미의 진단적 복강경 수술에 대하여 1947년도에 Raoul Palmer가 저술하였으며 그 뒤를 Kurt Semm등이 발전시켰다. 또한 1970년도 중반에 탄산가스를 사용하는 자궁경수술(Hysteroscopy)이 독일의 Kurt Semm에 의하여 시도되고 발전하였다.

복강경 수술은 기계공학의 발전에 따라 발전하게 되었다. 수술의 가장 중요한 기구인 조직절단면의 혈액응고를 신속하게 하는 기구들인 고주파전기응고기(high frequency current cagulator), 양극성 전기응고기(bipolar coagulator), 자궁내 전기응고기(endocoagulator)의 발명과 수술중에 복강이 뜨 거워지지 않게 하는 cold light, 복강 내 가스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개스 주입 시스템(gas insufflation system)과 많은 조직을 쉽게 묶어 지혈하는 복강내 환상결찰기(endoloop) 등이 개발되면서 점차 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1980년도 후반까지 쉽게 보편화되지 못한 이유는 오직 광학기기에 의존하여 수술자만 복강내를 들여다보고 조수는 수술자의 지시에 따라 내시경을 움직여 수술하였으므로 간단한 수술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다. 1987년도에 내시경에 부착하는 카메라가 도입되면서 복강경 수술은 폭발적으로 많이 시행하게 되었고 최초의 복강경식 자궁절제술은 1989년도에 시행되었으며 국내에는 1990년도 초반에 도입되었다.

복강경 수술의 장점은 복부의 큰절개를 피할 수 있어 환자의 육체적 스트레스를 줄이고 창상의 동통을 줄여 재원기간을 줄이며 수술 중 조직의 건조를 방지 할 수 있음으로서 수술 후 회복이 빠르고, 기존의 개복수술에 의한 부작용인 복강내 수술 부위 유착 등을 방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중 제일 좋은 장점은 수술 후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적다는 점이다.

부인과에서 최소 침습수술(복강경 수술)은 아래와 같은 적용할 수 있다.
I. 복강경 수술
 1. 난관 수술
    1) 난관 폐쇄 및 난관 유착에 대한 수술
        ; Neosalpingostomy, Fimbrioplasty, salpingo-ovarian adhesiolysis
      2)여러가지 종류의 자궁외 임신수술
        ; Salpingostomy, salpingotomy, salpingectomy
      3)영구 불임술 및 난관 복원술
 2. 난소 수술
      1) 자궁내막증
         : coagulation of endometriosis, excision, vaporization
      2) 난소의 양성종양
         : 낭종제거술 및 난소보존술, 자궁부속기 절제술
      3) 기타 난소 수술
         : 난소낭종염전,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ovarian drilling
 3. 자궁수술
      1) 자궁절제술
         : CISH, LAVH, SLH, TLH
      2) 자궁근종절제술
      3) 근치적 자궁절제술 및 림프절제술
II. 자궁경수술(Hysteroscopy)
      1) 진단적 자궁경(Diagnostic hysterosopy)
          : 원인이 설명되지 않는 비정상 자궁출혈, 불임의 진단 , 습관성 유산
      2) 수술적 자궁경(Operative hysteroscopy)
          : 이물질제거, 자궁내막 용종, 점막하 근종, 월경과다, 자궁내 유착

사실 부인과에서 실시할 수 있는 복강경 수술과 자궁경수술은 수술이 필요한 부인과 질환에 모두 적용되나 여러 번 수술에 의한 심한 유착이나 너무 거대한 종괴 등은 수술이 불가한 경우가 있다.

복강경 수술의 단점은 개발 초기에는 큰 구경의 내시경을 사용하게 되거나 복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여 생기는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문제들은 생리학(Physiology)과 기계공학의 발달로 현재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수술자 입장에서의 단점은 수술 시야가 제한돼있고 촉지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있으며 고가이며 섬세한 장비가 필요하고 일회성 소모품이 많아 경제적 문제가 야기되며 오래기간 수술자의 숙련이 필요한 점이다. 현재는 수술법이 진화하여 일회성 고가의 일회성 물품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 편이고 소모성 물품은 개복수술과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최소 침습 수술은 복강경 수술의 장점에 더하여 입체 영상 구현, 자유도가 향상된 도구로 이차원의 모니터링에서 입체적이며 넓은 시야를 확보하는 방향으로 나갈 것이며 여러 개의 투과침 보다는 one port surgery로 발전할 것이며 더 나아가 원격수술, 로봇수술 및 나노 기술을 이용한 작은 로봇 수술로도 발전할 것으로 생각된다.

복강경 수술을 배우겠다고 전문의 시험 후 교원 발령 전까지 한달 여 동안 이곳저곳에서 수술을 배우기 시작하여 사장된 기계를 꺼내 설치하고 시작한지 벌써 25년이 넘었다, 독일의 Kurt Semm교수의 한국인 제자에게 잠시 사사 받고 The learning curve of New operation ‘100 case of CISH’를 발표할 때 Semm교수와 교감한지도 20여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어제와 같이 생생하다. 1980년도 개발자의 기구나 시스템에 비하여 훌륭한 장비를 보유한 본원은 부인과에서 교과서에 명시된 모든 복강경 수술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지속적인 투자와 연구로 가까운 시일 내에 세계의 탑 클라스의 수술자를 배출하고 수술법을 개발할 수 있다. <김민관․산부인과 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