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한라병원 통합검색 검색 아이콘
전체메뉴

병원 뉴스

'새로운 남북교류 지역간 패키지형 협력' 제안
작성일 2019.07.01
조회수 97

'새로운 남북교류 지역간 패키지형 협력' 제안

김성수 민주평통 부의장, 제주포럼에서 기조발제 통해 

 

 

 

김성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제주지역회의 부의장은 지난달 31일 제주포럼의 한 세션에서 ‘제주형 남북교류협력의 새로운 접근을 모색하며’라는 제목의 기조발제를 통해 “향후 남북교류는 지역 간 결연 등의 방법을 통해 지속적인 교류협력이 필요하다”며 제주와 양강도간 교류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이날 세션은 29일부터 31일까지 제주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4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마지막 날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와 제주통일미래연구원이 공동주최하여 ‘남북협력시대, 제주의 새로운 대북교류협력 방향과 방안’이라는 제목으로 열렸다. 

 

 

996FDA3E5D15CB573204AB

◇ 세션이 끝난 후 발제자와 토론자, 주요 참석자 등이 함께 포즈를 취했다. 

 

 

기조발제에서 김 부의장은 지난 20년간 교류경험에 대한 성찰을 토대로 새로운 전환시대에 부응하는 교류협력방식이 요구된다고 전제, “평양 중심에서 벗어나 지역교류 또는 도시연대 방식으로, 개별적 단위의 교류사업에서 종합교류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대두된다”고 강조했다. 김 부의장은 이에 따라 지방분권형 남북교류 협력정책을 주창하고 선도적으로 이끌기 위해 북한 지자체와 이른바 ‘패키지형 지역교류’를 제안했다. 

 

김 부의장은 교류지역 선정 기준으로 상호보완 및 공영의 가능성, 지속가능성, 상징성, 비정치적 지역 등을 꼽고, 여러모로 제주도와 비슷한 여건인 양강도와 함께 지역협력시스템 구축에 앞장서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양 지역 간 세부 실천방안으로 한라산-백두산 교차관광, 생태환경 공동협력, 산림협력, 에너지협력(태양열/풍력단지), 문화체육 교류, 보건의료 협력, 전문가 지식교류 등 2~3개 사업별로 단계적 추진을 제시했다. 김 부의장은 또 “양 지역간 보다 능동적이고 유력한 사업구상으로서 ‘한라-백두 관광벨트 구축을 위한 시범사업’, ‘제주도-DMZ 고성 평화 둘레길-백두산 정박 피스 보트(peace boat)’, ‘양강도 ‘홉’ + 제주도 ‘삼다수’ 결합상품 출시’, ‘보건의료 협력사업 상생 추진'등을 제시할 수 있다”고 피력했다.

 

김 부의장은 마지막으로 “현재 남북관계는 이같은 과제를 당장 실현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제, “이런 현실을 고려하면서도 제주도-양강도 지역 협력의 선도적 시작을 위한 용단과 세심한 접근을 위한 지혜를 모아 제주의 강점을 남북교류협력과 통일 한반도의 미래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제주만이 할 수 있는 구상으로 제안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기조발제에 이어진 토론에서 홍재형 전 통일부 남북대화본부장, 김영수 서강대 교수, 박찬식 제주평화통일포럼 연구위원장, 고관용 제주한라대 교수 등이 참여해 새로운 남북교류 협력을 바라보는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