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학은 일차적인 의료행위로, 모든 응급환자를 보다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를 하기 위한 의료분야입니다. 응급환자의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가장 중요한 관건은 신속한 후송과 적절한 응급처치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응급의료체가 필요하며, 이는 의학과 사회조직의 유기적인 결합으로서 완성됩니다. 이러한 작업의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응급 의료의 전반적인 학문을 연구하는 것이 바로 응급의학입니다.
현대문명의 발달에 따라 각종 사고의 증가와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 뇌혈관질환이나 심장질환 등이 증가함에 따라 정부는 응급환자에 대해 적기에 적정수준의 응급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국 주요거점지역에 권역응급의료센터를 두고 응급의료체계를 맡도록 하고 있다. 본원은 지난 2011년 제주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돼 24시간 응급의학전문의가 상주하는 것은 물론 각 진료분야별 전문의를 상주시키는 등 제주지역 응급의료체계를 책임지고 있습니다.
진료시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오전 |
○ | | | ○ | | |
오후 |
○ | | | ○ | | |
학력
- 연세대학교 졸업
-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석사
-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박사
경력
- 메리놀내과 전공의
- 아주대 순환기내과 전임의
- 아주대 겸임교수
- 서울아산병원 응급의료센터 센터장
-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주임교수
학회활동
- 대한응급의학회 회장 (현)
- 제주형 응급의료 거버넌스 의장 (현)
- 응급의료기관 외부평가단 단장 (현)
- 보건복지부 병원수련환경평가 단장 (현)
- 보건복지부 병원수련환경평가 단장 (현)
- 대한재난의학회 회장 (현)
- 중증응급환자 야간 휴일 수술지원 사업 책임자 (현)
- 제주도 지역외상체계 구축 시범 사업 책임자 (현)
- 보건복지부 취약지 응급원격협진 네트워크 운영 사업 추진 단장 (현)
- 대한응급의학회 KTAS 위원회 제주권역 교육위원/KTAS 주강사 (현)
-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응급의료위원회 위원장 (현)
- 제주특별자치도 재난의료책임자 (현)
- 제주한라병원 부원장 겸 권역응급센터장 (현)
-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지원센터 제주응급의료지원센터장 (현)
- 제주도 응급의료협의회 회장 (현)
경력
- 서울아산병원 인턴 수료
- 서울아산병원 레지던트 수료, 전문의 취득
- 응급의료지도의사협회 응급의료 지도의사
- 한국저체온치료연구회 회원
- 현 제주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과장
학회활동
- 대한응급의학회 정회원
- 대한임상독성학회 정회원
- 대한심폐소생협회 정회원
경력
-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인턴
-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레지던트
- 육군항공사령부 의무후송항공대 군의관
경력
- 세브란스병원 인턴
- 세브란스병원 레지던트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전문의
- 해운대백병원 전문의
- 현 제주한라병원 권역외상센터 과장
경력
- 강원대학교병원 인턴
- 상계백병원 레지던트
- 홍익병원 전문의
- 현 제주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과장
경력
- 아주대학교병원 인턴
- 아주대학교병원 레지던트
- 서귀포의료원 공중보건의
- 현 제주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과장
경력
- 좋은삼선병원 인턴
- 상계백병원 레지던트
- 한국병원 과장
진료시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오전 |
○ | | | ○ | | |
오후 |
○ | | | ○ | | |
진료시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오전 |
○ | | | ○ | | |
오후 |
○ | | | ○ | | |
경력
-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인턴
-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레지던트
학력
-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졸
- 고신대학교 의과대학원 석사
경력
-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인턴
-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레지던트
학회활동
- 대한응급의학회 정회원
- 대한소아응급의학회 정회원
경력
- 인천길병원 인턴
- 인천길병원 레지던트
- 서귀포의료원 공보의
- 제주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과장
- 서귀포의료원 응급의학과 전문의
- 현 제주한라병원 응급의학과 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