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한라병원 통합검색 검색 아이콘
전체메뉴

전문진료센터

뇌혈관센터 소개
제주한라병원 뇌혈관센터는 급성기 뇌졸중(출혈성·허혈성 뇌혈관 질환)을 중심으로 두통, 신경장애 등 다양한 뇌신경계 질환을 전문적으로 진료하고 있습니다.

최신 자동항법영상수술장비, 고해상도 CT·MRI, 혈관조영장비 등 첨단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내시경 및 감마나이프 등 미세침습 치료기술을 활용해 환자의 회복 부담은 줄이고, 치료 효과는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뇌혈관질환은 암, 심장질환과 함께 국내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빠른 시간 내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에 뇌혈관센터는 조기 진단과 예방, 응급처치, 맞춤형 치료, 수술, 관리까지 통합적인 진료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센터 특장점
  1. 자동항법수술장비, 3.0T MRI, 256슬라이스 CT 등 최신 진단장비 운영
  2. 뇌출혈, 뇌경색, 동맥류 등 폭넓은 질환 치료 경험
  3. 내시경 수술, 감마나이프 등 고도화된 치료법 적용
  4. 환자 중심의 맞춤 치료와 단계별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


뇌혈관질환은 예고 없이 찾아오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예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제주한라병원 뇌혈관센터는 최신 의료장비와 숙련된 전문의, 체계적인 치료시스템을 기반으로 환자 개개인의 건강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두통, 어지럼증, 시야 흐림, 감각 저하 등 작은 이상도 무시하지 마세요.
조기 발견이 곧 생명과 삶의 질을 지키는 길입니다.
저희가 여러분의 든든한 의료 동반자가 되어 드리겠습니다.
백진욱 의료진 사진
백진욱
신경외과
진료분야
뇌혈관질환, 뇌혈관중재술
진료시간
오전
오후
 
김영인 의료진 사진
김영인
신경과
진료분야
뇌졸중, 파킨슨 병, 치매, 간질 두통, 어지러움증, 말초신경 질환, 이상운동증
진료시간
오전
오후
 
박태준 의료진 사진
박태준
신경외과
진료분야
뇌혈관질환, 뇌혈관중재술, 외상
진료시간
오전
오후
 
양일권 의료진 사진
양일권
영상의학과
진료분야
신경·두경부 영상의학
진료시간
오전
오후
 
이상평 의료진 사진
이상평
신경외과
진료분야
뇌종양, 뇌혈관, 외상
진료시간
오전
오후
 
백진욱 의료진 사진
백진욱
뇌혈관센터
진료분야
뇌혈관질환, 뇌혈관중재술
진료시간
오전
오후
 
진료시간
오전
오후
 
학력
  •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경력
  • 대구 가톨릭대학교병원 신경외과 수련 및 전문의 취득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전임의
  • 양주병원 신경외과 주임과장
  • 현 대구 가톨릭대학병원 외래교수
  • 현 제주한라병원 신경외과 과장
  • 신경계 중환자 전문의
학회활동
  • 대한의사협회 정회원
  • 대한신경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뇌혈관학회 정회원
  •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뇌혈관내수술학회 정회원
김영인 의료진 사진
김영인
뇌혈관센터
진료분야
뇌졸중, 파킨슨 병, 치매, 간질 두통, 어지러움증, 말초신경 질환, 이상운동증
진료시간
오전
오후
 
진료시간
오전
오후
 
학력
  •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원 석사
  •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원 박사
경력
  • 가톨릭중앙의료원 인턴
  • 가톨릭중앙의료원 레지던트
  • 서울성모병원 신경과 주임교수
  • 서울성모병원 JCI준비위원장
  • 서울성모병원 IRB 위원장
  • 성바오로병원 병원장
  • 국제성모병원 부원장
  • 국제성모병원 병원장
박태준 의료진 사진
박태준
뇌혈관센터
진료분야
뇌혈관질환, 뇌혈관중재술, 외상
진료시간
오전
오후
 
진료시간
오전
오후
 
학력
  •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원 석사
경력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신경외과 수련 및 전문의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전임의
  • 현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외래교수
  • 현 제주한라병원 신경외과 과장
  • 뇌졸중 시술인증의, 뇌혈관 수술인증의 취득
  • 신경계 중환자 전문의
학회활동
  • 대한의사협회 정회원
  • 대한신경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뇌혈관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뇌혈관내치료의학회 정회원
양일권 의료진 사진
양일권
뇌혈관센터
진료분야
신경·두경부 영상의학
진료시간
오전
오후
 
진료시간
오전
오후
 
학력
  •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원 영상의학과 석사
  •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원 영상의학과 박사
경력
  • 성모병원 레지던트
  • 부천 성가병원 과장
  • 서울 성모병원 과장
  • 제주 건강증진의원 진료의
이상평 의료진 사진
이상평
뇌혈관센터
진료분야
뇌종양, 뇌혈관, 외상
진료시간
오전
오후
 
진료시간
오전
오후
 
학력
  •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 경북대학교 대학원 신경외과학 석사
  • 경북대학교 대학원 신경외과학 뇌종양전공 박사
경력
  • 경북대학교병원 신경외과수련 및 전문의 취득
  • 대구가톨릭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프랑스 Hospices civils de Lyon, Pierre Wertheimer Hospital 신경외과 연수
  • 토론토 대학 신경외과 교환교수
  • 현 제주한라병원 신경외과 과장, 진료부원장
  • 중환자 세부 전문의
  • 신경계 중환자 전문의
학회활동
  • <학회 활동>
  • 대한의사협회회원
  • 대한 신경외과학회 회원
  • 대한 뇌종양학회 회원
  • 미국 암연구회 회원(AACR membership)
  • 대한 뇌혈관외과학회 회원
  • 대한 척추신경외과연구회 회원
  • 대한 생화학학회 회원
  • 대한 노인외과학회 회원
  • 미국종양연구회정회원(Active Member of American Association of Cancer Research)
  • <방송 출연 및 외부 강연>
  • 제주KBS, 제주MBC, 서울MBC, JIBS, KCTV 건강 관련 프로그램 다수 출연
  • 제주신문 홈닥터 연재
  • 서부소방서, 서귀포소방서 강좌 2011
  • 중문관광단지 관광업체 종사자 및 일반인 대상 강좌 2011
  • 중문관광단지 호텔종사자 대상 강좌 2011
  • 제주도민 대상 뇌혈관강좌 2011
  • 제주한라대 간호인력대상강의 2011
  • 권역응급의료센터 2011
  • 도내간호사 협회 보수교육 2010
  • 제주도 지방공무원 보건 의료직 종사자 보수교육 2010
  • 대한상이군인 및 국가유공자 대상 건강강좌 2010
  • 제주도 보건직 공무원 강연 2010
  • 제주도내 노동부 간호보건직 강의 2009
  • 제주도내 영양사 대상 강의 2008
주요 질병
뇌혈관질환은 흔히 뇌졸중 혹은 중풍이라고도 하며 머릿속에 있는 뇌혈관에서 생기는 각종 질병을 총괄하는 단어로서 크게 나누어 혈관이 막히는 허혈성 질환과 뇌혈관이 터지면서 출혈에 의한 출혈성 질환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뇌출혈 및 허혈성 뇌졸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뇌혈관 질환
  1. 동맥류파열(SAH, Aneurysm rupture)
  2. 고혈압성 뇌출혈(Hypertensive intracerebral hematoma)
  3. 뇌동정맥기형(ArterioVenous Malformation)
  4.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
  5. 뇌혈관협착증(Carotid stenosis) &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뇌동맥류 파열 및 뇌지주막하 출혈
뇌동맥류는 뇌속의 동맥이 갈라지는 부위에서 혈관이 풍선모양으로 부풀어 오르다가 갑자기 터지는 질환이며 이때 출혈이 고이는 공간을 뇌지주막하 출혈이라고 합니다. 일반인들에게는 ‘뇌혈관 꽈리’라고 알려져 있다. 흔히 심장마비와 더불어 갑자기 사망하게 되는 돌연사의 원인의 하나이며 통상적으로 50~60대에 잘 터집니다.

뇌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출혈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고혈압성 뇌출혈(중풍출혈)과는 달리 한쪽 팔다리의 마비가 없고 심한 두통이나 구토가 특징이며 상태에 따라 의식의 변화가 초래 됩니다. 특히 흡연, 고혈압, 스트레스, 동맥경화, 폭음 등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빈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재출혈을 방지하는 방법은 혈관내 코일시술법과 수술로 막는 클립술이 있습니다. 두가지 방법의 선택은 동맥류의 크기, 위치, 방향, 갯수, 환자의 의식상태나 나이, 전신상태 등의 여러 가지 인자를 고려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뇌동맥류 파열의 치료경과, 뇌동맥류 결찰술, 뇌동맥류 철사를 이용한 폐색술로 구성
뇌동맥류 파열의 치료경과
재출혈
뇌동맥류에 의한 뇌출혈시 가장 심각한 합병증은 재출혈이 발생하는 것으로 재출혈을 방지하는 시술이나 수술을 시행하게 되며 통상 환자의 나이나 동맥류의 크기, 위치, 모양 등에 따라 코일을 할 것인지 클립수술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혈관연축
뇌지주막하 출혈이 발생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출혈된 피가 파괴가 되면서 주변의 뇌혈관을 자극하게 되어 혈관이 좁아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것을 뇌혈관연축이라고 하는데 뇌지주막하 출혈의 중요한 합병증중의 한가지 입니다. 뇌에 혈액순환이 떨어지게 되어 중풍증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됩니다.
뇌수두증(물 뇌증)
뇌지주막하 출혈이 발생하게 되면 뇌척수액의 흐름의 장애로 뇌수두증이 발생하고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이에 단락술이나 척수 배액술 등으로 치료해야 하는 합병증입니다.
뇌동맥류 결찰술
뇌동맥류 결찰술 수술 내시경 사진
뇌동맥류 철사를 이용한 폐색술
뇌동맥류 철사를 이용한 폐색술 사진
혈압성 자발성 뇌출혈
뇌실질내의 자발성출혈은 국내 뇌졸중 환자의 약 반수를 차지할 정도로 빈도가 높습니다. 미국에서는 뇌졸중의 6.3-12%를 차지하고 매년 평균 발생률이 인구 10만명당 9명이라고 하며, 뇌내출혈의 2/3가 45-75세에서 호발하고 뇌 CT, 미세수술 등 현대 신경외과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이 60-80%로 높습니다.

진행성인 반신 부전 마비나 반신 마비가 감각 소실과 함께 생기거나, 의식 장애, 언어 장애, 시야 및 인지 장애, 그 외 단순 두통에서부터 심각한 혼수 증상 까지 다양하게 나타 날 수 있습니다. 뇌내출혈을 일으킨 환자는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하며, 혈종의 수술적 배출의 필요성에 대하여 검토하여야 합니다. 약물치료를 포함하는 보존적인 치료와 수술적인 치료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용되어야 합니다. 고혈압성 뇌내출혈의 가장 중요한 예방법은 가장 중요한 것은 고혈압의 예방입니다.
뇌동정맥 기형
뇌동정맥기형은 선천적인 뇌혈관의 기형으로 뇌동맥과 뇌정맥 사이에 정상적으로 있어야 할 모세혈관이 없어서 동맥에서 정맥으로 직접 피가 흐르는 혈관기형입니다. 뇌동정맥기형에서는 기형혈관 주위의 뇌조직에 혈류장애를 초래하며 뇌혈류 자동조절기전이 손상받게 되어 뇌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망하거나 영구적으로 심각한 후유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뇌동정맥기형 증상, 뇌동정맥기형 치료로 구성
뇌동정맥기형 증상 뇌동정맥기형은 선천성 질환이나 소아시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증상이 생기는데 10-40세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약 70%가 뇌출혈을 일으키고 30%에서는 경련이 나타납니다. 그 밖의 증상으로는 지능장애, 뇌허혈증상, 두통, 반신마비, 어지럼증, 언어장애 등이 있습니다.
뇌동정맥기형 치료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적 적출, 혈관내 색전수술 및 방사선 수술 등이 있습니다. 이들 치료방법들은 상호보완관계에 있으며 환자의 상태, 뇌동정맥기형의 위치, 크기, 동맥 및 정맥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치료방법을 결정하게 됩니다.
모야모야병
모야모야병은 정확한 발병 원리나 원인 없이 양측 뇌혈관의 일정한 부위가 내벽이 두꺼워지면서 막히는 병인데 서양인에 비해 주로 일본인과 한국인에게 나타납니다. 모야모야병은 특이하게도 소아에서는 주로 뇌허혈이나 뇌경색으로 발병되고, 성인에서는 뇌출혈로 발병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으며 수술적 치료는 직접혈관과 혈관을 연결하여 혈류량을 늘리는 직접혈관 문합술과 다른 부분의 혈관이 자라나서 시간이 걸리지만 보조적으로 혈류량을 늘리는 간접혈관 문합술의 2가지가 있습니다. 전간 발작에 대한 항경련제 투약 외에는 대부분 수술적 치료법이 추천되고 있습니다.
허혈성 뇌졸중
작은 혈관이 막힌 경우는 대부분 주사나 경구 약물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큰 혈관이 막힌 경우 6시간 이내에 병원에 내원하면 60% 이상의 환자에게서 막힌 뇌혈관을 뚫고 신경학적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혈전용해술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하여 연중 무휴 24시간 혈관내 수술을 시행하는 병원으로 내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3시간 이내에 종합병원에 도착하는 뇌졸중 환자는 20%, 6시간 이내는 32%에 불과한 것이 뇌졸중 환자를 초기에 치료할 수 없는 가장 큰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내시경을 이용한 뇌 흡인술,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뇌출혈 제거술로 구성
내시경을 이용한 뇌 흡인술
내시경을 이용한 뇌 흡인술 사진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뇌출혈 제거술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뇌출혈 제거술 사진
주요 장비
뇌혈관조영장비
혈관조영시술이란 혈관 내에 카테터(catheter)라는 2㎜내외의 가는 관을 넣고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x-선을 조사하여 혈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법으로 혈관에 생긴 병변을 진단하거나 적절한 치료를 수행하는데 외과적 수술에 비해 환자의 위험 부담이 적기 때문에 선호도가 높은 시술법입니다. 제주한라병원은 종전의 혈관조영기보다 성능이 우수한 최첨단 디지털 바이플레인 혈관조영기를 도입하여 가동하고 있습니다. 이 장비는 영상의 획득, 처리, 시현 및 저장 과정에서 혁신적인 클래러티 IQ(Clarity IQ)기술이 적용돼 방사선량을 대폭 줄이면서도 최상의 해상력이 매우 탁월해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이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도와줍니다. 특히 새롭게 도입된 15인치 디텍터(lateral detector)는 뇌혈관중재시술시 환자의 두부에 보다 가까이 밀착이 가능해져 낮은 방사선량으로 정밀한 뇌혈관진단이 가능해졌습니다.
뇌혈관조영장비 사진
Neuronavigator
(자동항법영상수술장비)
자동항법영상수술은 컴퓨터와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하여 환자의 병변 위치를 정확히 파악해 치료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뇌수술, 척추수술 등 고난도의 테크닉을 요구하는 수술 시 병변 부위를 3차원의 해부학적 영상 이미지로 구성해 실시간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어 수술시간을 단축시킵니다. 이 수술은 머리에 핀을 고정하지 못하는 수두증과 소아환자의 경우에도 전자자기장방식을 이용하여 안전한 시술을 받을 수 있으며 각성 뇌수술과 같은 시술중 운동과 언어반응을 즉각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시술도 전자자기장 방식을 이용하여 머리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적용 가능합니다.
자동항법영상수술장비 사진
256Slice CT
영상을 얻는 속도가 1초에 256장을 얻을 정도로 빠를 뿐 아니라 해상도가 현재 나와 있는 CT 중 가장 우수하며 3차원의 영상까지도 빠른 시간에 얻을 수 있는 최신 장비입니다. 뇌CT는 출혈을 발견하는 민감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주로 뇌출혈이 의심되거나 외상성 뇌질환에 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256Slice CT 사진
3.0T TX MRI
MRI는 자기공명영상장치로 자기장을 이용하여 진단하는 방법으로 뇌 신경계는 물론 종양, 인대, 근육 등의 연부조직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뚜렷하고 선명한 해상도가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히기 때문에 뇌 조직, 신경계를 촬영할 때 특히 선호되고 있습니다. 본원이 사용하는 3.0T MRI는 기존 3.0T MRI에 멀티트랜스미트(Multi-transmit) 알에프(RF. Radio Frequency) 기술을 추가 적용함으로써 종전보다 선명한 영상을 신속하게 제공해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검사시간을 줄여 환자의 불편을 줄이고 있습니다.
3.0T TX MRI 사진
PET CT
양전자 단층촬영장치(PET-CT)는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 의약품을 이용하여 인체의 생리 화학적 기능을 3차원 영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핵의학 검사 방법 중 하나이다. 각종 암을 진단하는 데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암에 대한 감별 진단, 병기 설정, 재발 평가, 치료 효과 판정과 심장질환, 뇌 질환 및 뇌 기능 평가를 위한 수용체 영상이나 대사 영상을 얻기 위하여 이용하고 있다.
PET CT 사진
Cycoltron
PET-CT 검사를 위해 특정 생리 화학적, 기능적 변화를 반영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합성하는 장비로 암, 심장질환, 뇌질환 등 진단을 위해 방사성 의약품인 18F 양전자방출 방사성동위원소를 합성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제주 최초로 비자밀을 합성하여 치매를 일으키는 뇌 질환인 알츠하이머병 및 인지장애 의심 환자의 뇌 속 베타아밀로이드 신경 밀도를 확인하여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 및 감별검사에 이용하고 있다.
Cycoltron 사진
감마카메라
방사성동위원소를 체내에 투입하여 골 질환을 비롯하여 암 전이 유무, 심근경색, 뇌경색 등 인체 장기의 생리학적 상태를 영상으로 얻을 수 있는 장비이다. 뇌 내의 국소 혈류량, 에너지대사량 등을 영상화할 수 있으며, 심장의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관상동맥 협착의 정도, 위치를 알 수 있고, 심근경색 후의 생존력을 유지하고 있는 심근을 찾아낼 수 있다. 전신 뼈 검사는 뼈에 이상을 가져오는 각종 질환에서 일반적인 방사선검사보다 우수한 예민도를 보이기 때문에 암의 골 전이를 진단하거나 방사선검사에 나타나지 않는 골절, 외상, 각종 관절의 이상, 그리고 뼈의 대사성질환 등 각종 뼈 질환을 감별 진단하는 데 널리 이용된다. 이외에도 신장 혈류와 신장의 배설 기능을 평가, 신장 이식 후 신장 기능의 감소를 일으키는 현상에 대한 영상과 기능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감마카메라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