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한라병원 통합검색 검색 아이콘
전체메뉴

전문진료센터

재활의학센터 소개
재활의학은 의료적 측면에서 장애를 예방하고 장애를 극소화시키며, 더 나아가 장애인에게 남아 있는 기능을 최대로 향상시켜,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가능한 한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분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주로 다루는 병변은 뇌졸중·뇌손상·뇌성마비·척수손상·말초신경병변 등 신경계 질환, 근육병·관절염·골격변형 등 근·골격계질환, 호흡장애·심장질환 등의 심폐질환·소아의 발달장애 등이다.

본 센터에서는 이러한 질환을 조기에 진단하고 의학적인 문제와 기능적인 문제를 평가한 후 약물치료·물리치료·작업치료·언어치료·심리치료 및 수치료 등을 통하여, 개인의 신체적·정신적 능력을 최대화하도록 한다. 이런 의료재활과정은 재활의학과 전문의를 중심으로 물리치료사·작업치료사·언어치료사·재활간호사·임상심리사·사회복지사 등 관련된 전문가들의 긴밀한 협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문의 : 064-740-5068~9
김익수 의료진 사진
김익수
재활의학과
진료분야
뇌병변, 척수손상, 근골격계 질환
진료시간
오전
오후
김익수 의료진 사진
김익수
재활의학센터
진료분야
뇌병변, 척수손상, 근골격계 질환
진료시간
오전
오후
진료시간
오전
오후
학력
  •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경력
  • 연세대학교 원주기독병원 인턴 수료
  • 연세대학교 원주기독병원 재활의학과 레지던트 수료(재활의학과 전문의 취득)
  • 현 제주한라병원 재활의학과 과장
학회활동
  • 자료 준비중입니다.
진료과목
척수손상재활, 뇌졸중 및 뇌손상재활, 소아재활, 통증재활, 스포츠재활, 노인재활으로 구성
척수손상재활
급성기 및 아급성기 척수손상 환자를 치료하며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척수손상 후 남아있는 근력을 최대화 시키며 , 잃어버린 기능을 최대한으로 회복시켜 독립적인 삶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최고의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뇌졸중 및 뇌손상재활
뇌졸중 및 뇌손상 환자의 마비된 부분의 기능을 회복시켜 주고 합병증을 줄이며 , 언어치료와 심리치료를 포함하는 포괄적 재활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소아재활
발달지연과 뇌성마비 환자의 조기 진단 및 조기 치료를 시행하며 , 여러 가지 다면적 문제를 적절하게 극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통증재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병되는 통증을 효과적이고 종합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특수물리치료 , 주사요법 , 최첨단 물리치료기를 이용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과 행동치료를 병행합니다.
스포츠재활
운동선수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삶을 위하여 다양한 스포츠를 즐기는 일반인들이 운동 중 발생한 스포츠 손상에 대해 근력검사 등 과학적인 검사와 체계적인 운동재활을 통해 스포츠 손상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스포츠를 통하여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재활치료와 함께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노인재활
노령화 사회에 따른 각종 노인 환자 및 신경퇴행성 질환 환자(예:파킨슨병)에 대해 근력강화, 보행훈련, 유산소운동 등의 물리치료, 상지기능 강화, 연하장애 재활, 일상생활 동작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언어 및 심리치료를 포함하는 포괄적 재활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검사도구
심초음파, 심장혈관촬영기, 심장전기생리검사기, 전신컴퓨터단층촬영기, 인공심폐기, Achieva 3.0T TX MRI(자기공명영상시스템)로 구성
보행분석기
(Gait Parameter Study)
Smartstep(스마트스텝)은 일반적으로 서 있거나 걷는데 문제가 있는 뇌졸증환자나 정형외과적 장애환자를 위한 솔루션입니다.

이러한 환자들이 Smartstep(스마트스텝)이라고 부르는 휴대 가능한 소형 바이오피드백 시스템을 사용하여 훈련하면, 훈련하면서 그때그때 즉각적으로 피드백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올바른 자세와 동작 기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임상치료사는 Smartstep(스마트스텝)을 사용하여 보행장애의 정도를 진단하고 장애의 치료경과 및 훈련효과를 즉시 수치와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으며, 환자 또는 가족들이 훈련에 따른 치료경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환자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발목에 착용한 보행분석기의 데이터를 PC로 전송하는 그림
데이터 그래프
균형능력 측정(훈련)시스템
(Static Balance Study)
환자 및 일반인,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균형 능력을 정적 및 동적으로 측정하고, 다양한 균형능력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서 재활치료를 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균형능력 측정(훈련)시스템를 사용하는 사진과 데이터 그래프
Biodex
(isokinetic test)
등속성 원리를 컴퓨터 시스템과 결합시켜 인체의 7개 주요관절(견관절, 주관절, 수근관절,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 요추부위 옵션)과 그 주변 근육의 근력, 내구력, 운동 부하량 등을 컴퓨터 시스템으로 정확히 측정하여 진단 및 분석, 치료에 도움을 주는 최첨단 장비입니다.
Biodex 사진
적외선 체열 진단 검사기
(DITI)
인체에서 방출되는 극미량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인체의 통증부위 및 질병부위의 미세한 체열변화를 컬러영상으로 나타내줌으로써 인체의 이상 유무와 질병여부를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적외선 체열 진단 검사기 사진과 결과 사진
성인운동치료실
재활치료란?, 치료대상, 치료평가, 치료방법으로 구성
재활치료란?
보바스(Bobath) 및 보이타(vojta), 고유신경근촉진법(PNF)의 교육과정(120시간이상)을 이수한 물리치료사가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장애를 가진 성인환자에게 신경학적 접근법을 이용하여 치료사와 환자간의 1:1 운동치료를 통하여 환자의 수준에 맞는 치료방법을 개선해 나가는 치료를 의미합니다.
재활치료를 시행하는 의료진 모습
치료대상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척수손상, 성인 뇌성마비, 파킨슨병, 루게릭병 등 중추신경계 질환을 통한 신체손상이 있는 성인환자.
치료평가
환자에 대한 주관, 객관적인 자료를 얻기 위하여 의식, 지남력, 주의력, 판단력,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지각, 정서, 감각 등의 신경생리학적인 검사와, 관절가동범위, 도수근력검사, 근육의 긴장도 및 정상적인 움직임과 비정상적인 움직임의 평가를 통하여 기능적 활동과 균형능력 정도를 분석하여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평가합니다.
치료방법
보바스(Bobath) 접근법 등의 신경학적 접근법을 이용하여 신체적 움직임을 다양하고 조절된 움직임을 통하여 적절한 근육의 긴장도를 유지 또는 정상적인 움직임을 재학습시켜 자세 조절과 기능적인 움직임을 가르치며 환자의 기능적 상태에 가장 적합한 최대한의 잔존능력을 개발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소아운동치료실
소아재활치료의 목적, 치료대상, 경험제공, 일상기능 향상으로 구성
소아재활치료의 목적
아동의 정상 발달에 이상이 있거나 신경계 질환 또는 근골격계 관련 질환에 의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으로 하여금 물리 치료를 통해 신체 기능 회복과 운동 발달을 증진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아동을 재활치료중인 의료진 뒷 모습
치료대상
  1.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정신지체, 자폐아동, 발달지연
  2. 염색체이상(다운 증후군 등), 이분척추 및 수두증
  3. 사경, 선천성 고관절 탈구, 소아 류마토이드 관절염
  4. 척추측만, 근육병
감각운동 제공
소아치료는 보다 정상적인 감각-운동경험을 제공합니다.
아이가 움직인다는 것은 환경의 요구에 적응하며 적절히 반응하는 것을 의미하며, 움직임을 통한 감각에 의해 다양한 활동을 배울 수 있습니다. 우리는 감각 없이 움직임을 배우지 못하므로, 아이들에게 좀 더 정상적인 움직임들과 스스로 하지 못했던 움직임들의 배경이 되는 정상적인 감각을 경험하도록 해주는 것이 치료의 한 부분입니다.

이러한 감각-운동(sensory-motor)은 아이의 지각과 인지 능력에 영향을 주고 받습니다. 예로 신체 이미지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아이는 옷입기를 할 때 팔을 어디에다 넣어야 할지 모르고, 공간에 대한 지각이 부족한 아이는 보행 시나 균형반응에서 공간에서 움직이는 것에 두려움을 가지게 됩니다.
일상기능 향상
일상생활에서 기능적이도록 도와줍니다.
치료에서 아이에게 필요한 기능적인 활동을 아이가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또 하나의 목표입니다. 이를 위한 준비로 관절 가동성을 증진시키고, 근육 길이를 능동적으로 정상화시키며, 움직임 요소의 연습과 반복을 아이 스스로가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일례로 손을 기능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앉은 자세에서의 더 나은 자세 조절을 필요로 하고, 먹고 마시기나 발성을 위해서는 머리와 몸통의 정렬과 조절이 향상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작업치료실
작업치료란, 작업치료 대상자, 작업치료의 평가로 구성
작업치료란
작업치료는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손상을 받은 환자에게 능동적이고 목적 있는 활동(작업)을 제공하여 의미 있고, 유용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서 불완전한 기능을 보다 나은 상태로 만들고, 더 이상의 악화를 예방하고자 실시합니다. 환자분들의 삶이 질적으로 향상되기 위해 다양한 신체적 기능과 일상에서 필요한 기술들을 보완, 훈련, 유지하는 치료입니다.
작업기구를 통해 재활중인 환자의 모습
작업치료 대상자
뇌졸중을 포함한 뇌질환, 척수 손상, 인지 장애, 관절 강직, 상지 절단, 기타 근육신경계 질환으로 인한 마비 및 골절 등의 손상 환자, 소아 관련 발달장애, 자폐증, 정신지체, 뇌성마비 등의 환자
작업치료의 평가
  1. 일상생활동작 평가
  2. 연하(삼킴)기능평가
  3. 상지기능평가
  4. 인지평가
  5. 감각평가
소아 작업 치료실
소아작업치료란, 치료대상, 치료평가, 소아치료 종류로 구성
소아작업치료란
아동이 운동, 인지, 정신사회적 기술의 발달을 통해 자조활동, 놀이, 학교활동을 돕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치료실에서는 감각, 운동, 지각, 인지, 일상생활의 평가를 통해 아동의 제한점을 찾아내고 이를 치료하고 있습니다.
작업치료중인 소아 환자의 모습
치료대상
뇌성마비, 운동발달지연, 뇌손상, 학습장애, 선천성질환, 정신지체, 시청각장애 등
치료평가
발달평가, 일상생활 수행능력 평가, 손기능평가, 인지평가, 시지각 발달평가 등
소아치료 종류
  1. 인지치료 및 시지각 치료
  2. 연하(삼킴)치료
  3. 발달치료
  4. 손기능 및 일상생활 치료
  5. 감각통합 치료
열·전기치료실
재활의학과 영역, 정형외과 영역, 신경외과 영역으로 구성
재활의학과 영역
소아마비, 뇌성마비, 뇌 및 척추손상 후유증, 절단환자, 근위축, 연부조직손상(타박상, 근좌상, 근염)
각종 의료기구 사진
정형외과 영역
골절 후 운동장애 및 기능장애, 관절염, 염좌, 테니스엘보우, 오십견, 척추측만증, 골반 및 척추변형, 자세교정, 인대손상, 퇴행성질환 등
신경외과 영역
신경마비, 편마비(뇌졸증), 말초신경장애, 좌골신경통, 신경통, 추간판탈출증(경추, 요추), 기타 각종 신경질환, 근육통, 인대손상, 산전·산후조리, 스포츠 손상 등
언어치료실
언어치료실 소개, 언어재활이 필요한 주요장애로 구성
언어치료실 소개
생애 발생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문제” 즉, 말과 언어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과 성인을 대상으로 정확한 언어능력을 평가하여 언어의 발달을 유도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언어치료중인 의료진과 환자의 모습
언어재활이 필요한 주요장애
  1. 아동기 언어발달장애
  2. 뇌졸중 또는 치매와 같이 뇌 기능 손상으로 인한 신경 말·언어장애, 삼킴장애
  3. 발음에 문제를 보이는 조음음운장애
  4. 성대 등 음성산출기관의 문제로 인하여 목소리를 정상적으로 산출하지 못하는 음성장애
  5. 말더듬과 같은 유창성 장애
  6. 지적장애 또는 자폐범주성 장애 등과 같은 발달장애를 동반한 의사소통장애
  7. 청각장애를 동반한 말·언어장애
수치료실
수치료 소개, 수치료 대상, 수치료 평가, 수치료 방법으로 구성
수치료 소개
생애 발생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문제” 즉, 말과 언어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과 성인을 대상으로 정확한 언어능력을 평가하여 언어의 발달을 유도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언어치료중인 의료진과 환자의 모습
수치료 대상
  1.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척수손상, 성인 뇌성마비, 파킨슨병, 루게릭병 등 중추신경계 질환을 통한 신체손상이 있는 성인환자 및 소아환자
  2. 관절염, 근육통 등의 근골격계질환
  3. 추간판탈출증, 엉덩관절 치환술, 무릎관절 치환술 등의 수술 후 재활
수치료 평가
  1. 호흡기능 평가
  2. 신체균형유지 능력 평가
  3. 수중에서의 보행 평가
수치료 방법
  1. halliwick, watsu, bad ragaz 등의 기법
  2. 수중필라테스
  3. 수중 트레드밀 운동
  4. 수중 자전거 운동
허리운동 프로그램
운동 모습, 1단계, 2단계, 3단계로 구성
운동 모습
허리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하는 의료진 모습
1단계
  1. 능동 골반 운동 1/2/3
  2. 엠브라스 운동
    1. 똑바로 누운 자세 1~9
    2. 엎드린 자세 1~4
    3. 네발기기 자세
    4. 무릎 서기 자세
2단계
  1. 전신 스트레치
  2. 상체 세우기 1/2
  3. 엎드려서 고개들기
  4. 엎드려 대각선 방향으로 팔, 다리들기
  5. 엎드려 양쪽 어깨 누르기
  6. 네발기기 자세에서 다리들기
  7. 골반세우기
  8. 윗몸 일으키기 1/2
  9. 누워서 무릎들기
  10. 다리 들기
  11. 한 다리 가슴에 붙이기
  12. 양 다리 가슴에 붙이기
  13. 의자에 앉아 상체 스트레치 1/2
3단계
  1. 복부 긴장성 수축운동
  2. 복부 긴장성 수축상태에서 뒤꿈치 밀기
  3. 측면 지지운동 1/2/3
  4. 교각 운동 1/2/3
  5. 엎드려 고개들고 유지하기
  6. 엎드려 고개들고 한쪽 다리 들기
  7. 네발기기 자세에서 타올대고 다리 들기
  8. 네발기기 자세에서 팔 들기
  9. 네발기기 자세에서 대각선 팔 다리 들기
  10. 옆으로 누운자세에서 다리들기
  11. 선 자세 운동 1/2
어깨 운동
어깨 튜빙 운동으로 구성
어깨 튜빙 운동
(Shoulder tubing exercise)
아동을 재활치료중인 의료진 뒷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