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심장판막센터 소개
대동맥은 심장에서 온 몸으로 혈액을 순환시키는 인체에서 가장 큰 혈관입니다. 대동맥은 나이가 많아지고 고혈압, 지질 대사이상이 동반되면 경화가 일어나 확장성이 감소되어 대동맥류, 대동맥박리 등 대동맥질환이 일어나게 됩니다.
또한, 심장은 2심방 2심실로 되어 있고, 각 방 사이 피가 거꾸로 흘러가는 것을 막아 주는 얇은 막이 있으며 이를 판막이라 합니다. 이 심장판막에 퇴행성 병변, 또는 염증에 의해 판막이 좁아지거나 판막의 역류가 생겨 문제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우리 나라 성인에서 대표적으로 발생되는 판막질환은 대동맥판막, 승모판막질환입니다. 판막이 좁아진 경우 협착증, 판막이 잘 닫히지 않는 경우는 폐쇄부전증이라 합니다. 주 증상은 숨이 차고, 심장이 빨리 뛰거나 부정맥이 발생되며 다리가 붓고 심하면 심부전증으로 진행됩니다. 심부전증으로 진행되기 전에 조기 진단이 필요하며, 진단 후 적극적인 치료를 해야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대동맥심장판막센터는 대동맥 및 심장판막에 이상이 생긴 환자를 위한 전문센터입니다. 도내 최초로 2007년부터 심장수술을 시작하기 시작해 관상동맥우회술, 심장판막수술, 부정맥수술(Maze 수술), 대동맥 수술 및 고위험군 환자에서 hybrid 대동맥 수술을 활발히 시행하고 있으며, 최근 고위험군의 중증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에서 수술이 아닌 시술로 시행하는 경피적 대동맥판막 삽입술을 시행 예정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2018년 말까지 hybrid 수술방을 설치할 예정입니다. 또한, 대동맥판막협착증에 있어 수술이 필요하다면 빠른 시간 안에 수술을 끝낼 수 있는 비봉합대동맥판막치환술을 시행 예정에 있습니다.
특히, 대동맥판막 하부 근육비후로 인한 좌심실 유출로가 좁아져 심부전이 발생되는 경우 좁아진 근육 부위를 절제하여 심부전을 치료하는 비후성 심근증 절제술 또한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승모판막 폐쇄 부전증에 있어 적응증에 해당된다면 판막치환이 아닌 판막성형술을 시행하여 환자 예후를 향상시키는 데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대동맥류, 대동맥박리 등 대동맥질환에 대한 전문적인 첨단 치료들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전통적 수술 치료뿐 아니라 최소 침습적 수술과 경피적 시술, 수술과 시술이 복합된 형태의 하이브리드 수술까지 유기적 협진 시스템을 구축하여 시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통적 수술과 경피적 시술이 필요한 경우 이전에는 여러 번 나누어서 해야 될 치료를 한번에 하게 되어 보다 최첨단화 된 치료를 제공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진료분야
허혈성 심질환, 심부전증, 말초혈관 질환
진료시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오전 |
○ | | ○ | | ○ | ● |
오후 |
● | | ● | ○ | ● | |
재진만 가능 : ● / 구분없음 : ○
진료분야
허혈성 심질환, 심부전증, 말초혈관 질환
진료시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오전 |
○ | | ○ | | ○ | ● |
오후 |
● | | ● | ○ | ● | |
재진만 가능 : ● / 구분없음 : ○
진료시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오전 |
○ | | ○ | | ○ | ● |
오후 |
● | | ● | ○ | ● | |
재진만 가능 : ● / 구분없음 : ○
경력
- 진단방사선과 전문의 취득
- 핵의학과 전문의 취득
- 가톨릭대 진단방사선과 조교수
- 미국 Yale University 연수
주요 치료기법
하이브리드 대동맥 수술, 복부 대동맥류, 흉부대동맥박리, 경피적 대동맥판막삽입술로 구성
하이브리드 대동맥 수술 |
술전 CT (대동맥궁 대동맥류) 대동맥내 스텐트 삽입 및 머리혈관 우회술
술 후 가슴사진 및 술 후 CT
|
복부 대동맥류 |
술전 CT 및 복부대동맥 내 스텐트 삽입술 후 CT
|
흉부대동맥박리 |
술전 CT 및 인조혈관 대치술 후 CT
|
경피적 대동맥판막삽입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