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한라병원 통합검색 검색 아이콘
전체메뉴

전문진료센터

만성신질환센터 소개
급성 및 만성신부전 환자의 총제적인 진료를 위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신부전이란 신장이 여러가지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를 뜻합니다. 급성신부전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서 급격한 신장기능의 감소가 일어나지만 대개 일시적 현상으로 차차 신장기능이 회복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만성신부전은 장기간에 걸쳐서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비가역적으로 신장기능이 감소되는 것을 말합니다. 신장의 기능은 신체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을 조절하며, 혈압을 조절하고 조혈 호르몬을 분비하여 빈혈을 예방해주며, 칼슘과 인의 대사에 관여하여 뼈를 튼튼하게 해줍니다. 따라서 신장의 기능이 감소하여 만성신부전의 상태가 되면 몸이 붓고, 숨이 차며, 식욕이 떨어지고, 기운이 없고, 구역질과 구토가 나며 심한 경우 전해질의 불균형으로 인한 심장발작과 요독성 출혈, 근경련과 혼수가 오기도 합니다.

신장의 기능이 정상의 5~10%이하가 될 경우 신장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신대체요법이 필요하며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투약과 식이 등의 조절이 필요합니다. 신장의 기능이 정상인의 10% 이하로 감소하면 자신의 신장 기능에만 의존해서는 생명 유지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를 만성신질환이라고 합니다. 만성신부전에 의해, 혹은 다른 어떤 이유로 신장의 기능이 악화되어 신장이 기능을 못하게 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혈액 투석이나 복막 투석으로 신장의 기능을 대신하면서 완치를 원하면 신장 이식을 받게 됩니다.

신장이 기능을 못하게 되면 우리 몸안의 노폐물과 넘쳐나는 수분을 몸 밖으로 내보낼 수 없어서 그것이 축적되어 건강하게 살아갈 수 없습니다. 이렇게 신장이 일을 못하게 된 상태를 신부전이라고 하고 이를 몇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급성 신부전은 빠르게 발생하지만 대개 일시적입니다. 신장은 혈액의 소실, 심한 화상, 감염, 약제 및 중독 등에 의해 기능이 소실 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투석은 신장이 나아질 때까지 단기간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급성신부전에서 손상된 신장이 회복되면서 신기능은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만성 신부전은 대개 서서히 발생하며 이전의 어떤 신장 질환이 신장에 지속적인 손상을 주어 회복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을 때이며 특히, 말기 신부전이라는 말은 더 이상 신장으로써 기능을 못하게 되어 살아가기 위하여는 혈액 투석 혹은 복막 투석이나 신장이식이 필요한 상태를 말합니다.

말기 신부전의 치료에는 혈액투석, 복막투석 그리고 신 이식 세 가지가 있습니다. 투석이란 말은 인공적으로 혈액을 깨끗이 한다는 의미의 의학적인 단어이며 투석 중에 신부전으로 인하여 배출되지 못하고 쌓인 노폐물과 과다한 체액이 혈액에서 제거되는 것입니다. 또한 다른 사람(공여자)으로부터 수술을 통하여 신장을 이식 받을 수 있는데 이식된 신장은 복강 내에 있게 되고 기존의 신장이 하였던 일을 하게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식은 완치이다’ 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식은 완치가 아니라 하나의 치료항목일 뿐입니다. 무엇보다도 환자의 몸은 신장 이식 직후 , 수주, 수개월 혹은 수년 후 이식받은 신장을 거부할 수도 있다는 점을 깨닫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충식 의료진 사진
이충식
신장내과
진료분야
당뇨병성신증, 사구체질환, 투석 및 신장이식
진료시간
오전
오후
이충식 의료진 사진
이충식
만성신질환센터
진료분야
당뇨병성신증, 사구체질환, 투석 및 신장이식
진료시간
오전
오후
진료시간
오전
오후
학력
  •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 한양대학교 의학대학원 박사
경력
  • 한양대학교 인턴 수료
  • 한양대학교 전공의 수료
  • 서울대학교병원 임상강사(신장학)
  • 투석전문의
  • 신장내과 분과 전문의
  • 현 제주한라병원 신장내과 과장
학회활동
  • 대한신장학회 정회원
  • 대한이식학회 정회원
  • 국제신장학회 정회원
  • 말기신부전 임상연구센터 참여 연구자